안녕하세요
아파트를 매매하신 분이라면 누구나 대출에 관한 궁금증을 가지실 겁니다.
아파트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합니다.
1. 일반공급, 우선공급, 특별공급 등 청약 당첨
2. 등기가 완료된 건물의 매매 입니다.
두 번째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이용하기에 각 은행별 금리 비교 외엔 달리 할 일이 없습니다.
첫 번째 방법으로 구하신 분은 잔금대출과 주택 취득 비용을 아낄 방법이 있는지 궁금해하실 거로 봅니다.
그래서 절감 팁을 남겨봅니다.
첫 번째, 잔금대출입니다.
입주 시에 은행 집단대출 상품을 이용합니다.
여기서 다른 주담대 상품과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.
바로 기준금리입니다.
흔히 알고 계시는 주담대 상품의 기준금리는 COFIX(신규취급액 기준, 잔액기준)을 이용합니다.
입주 시 은행별로 제공하는 집단대출 상품은 금융채 5년물(AAA)을 기준금리로 합니다.
금융채 5년물(AAA) 금리는 http://www.kofiabond.or.kr/ > 채권시가평가기준수익률 또는
https://www.standardchartered.co.kr/np/kr/pl/et/StandardInterestRateP.jsp
https://www.standardchartered.co.kr/np/kr/pl/et/StandardInterestRateP.jsp
Your couch.It is mine. --> 3개월CD 기준금리금융투자협회에서 고시하는 매일의 91일물 CD유동수익률의 종가수익률을 최근 10영업일간 평균한 수익률 국고채 기준금리(1년~5년 만기)금융투자협회에서 고
www.standardchartered.co.kr
두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이제 핵심인 "대출금액이 얼마나 줄어드는가?"를 쓰겠습니다.
금융채 5년물(AAA)은 일자별로 금리가 달라지기에 어떤 날에 대출을 받았느냐에 따라 최대 0.3%p까지 차이 납니다.
0.3%p가 언뜻 보기엔 작아 보이지만 원금이 클수록 대출기간이 길수록 상당한 금액 차이가 발생합니다.
1. 대출금액 2억, 대출기간 360개월, 2.3%, 원리금균등상환 월 769,603원 총 277,056,029원
2. 대출금액 2억, 대출기간 360개월, 2.4%, 원리금균등상환 월 779,883원 총 280,757,784원
3. 대출금액 2억, 대출기간 360개월, 2.5%, 원리금균등상환 월 790,242원 총 284,487,047원
4. 대출금액 2억, 대출기간 360개월, 2.6%, 원리금균등상환 월 800,679원 총 288,244,592원
0.3%p 차이가 기준일 때, 전체 기간으로 보면 무려 11,188,563원입니다.
보통 5년 고정금리이기에 60개월 환산 시 1,864,760원입니다.
대출금액이 크다면 금액차이가 더 큽니다.
이렇듯 대출일자를 잘 고른다면 상당한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.
두 번째, 국민주택채권 매도액입니다.
이 부분은 집단등기 시에 법무법인에서 채권을 일괄 매입 후 할인 매도하기에 다소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.
입주뿐만 아니라도 주택 매매를 할 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부분입니다.
아래 사이트에서 할인율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https://svc.wooribank.com/svc/Dream?withyou=HBNHB0036
국민주택채권도 할인율이 낮은 일자에 맞춰 매도한다면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.
은행별로 국민주택채권서비스를 웹으로 제공합니다.
국민주택채권 매입액은 광역시의 경우 시가표준액의 2.6%(시가표준액 2억 6천만 원 이상 6억 원 미만)입니다.
신축 아파트의 시가표준액은 보통 분양가+옵션입니다.
KB부동산 시세와 혼동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.
시가표준액을 3억 5천만 원으로 가정하여 절감액을 계산하였습니다.
최고점은 2021.06.29. 4.9835% / 453,500원
최저점은 2021.06.10. 4.4210% / 402,311원으로 차이는 51,189원입니다.
최저점이 더 낮다면 절감액은 더 커집니다.
다소 생소하지만 주택 관련하여 활용할 부분이 많은 내용이기에 꼼꼼히 읽어보시고 꼭 써보시기 바랍니다.
이상으로 절감 팁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.
위 글 내용의 이해가 어렵거나 계산을 원하신다면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'유용한 정보 > 대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TV(주택담보인정비율)이란 무엇인가? (3) | 2022.04.01 |
---|
댓글